턱 수술 후 입술이 무감각해진 20대 여성, 의료분쟁조정위는 왜 부분 손상만 인정했을까?
“수술은 성공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날 이후, A씨의 하루는 조금 달라졌습니다.
거울 앞에서 립밤을 바르려던 순간, 입술의 반쪽이 아무 감각 없이 굳어 있던 것이죠.
시간이 지나면 돌아오겠지 했지만, 석 달이 지나도 느낌은 흐릿했습니다.
커피를 마실 때마다 컵이 입에 닿는 감각이 둔했고, 가끔은 피가 나도 몰랐습니다.
그제서야 A씨는 단순한 ‘마취 후유증’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녀가 찾아간 병원에서는 “시간이 해결할 겁니다”라는 답만 들었지만,
결국 A씨는 의료분쟁조정위원회에 도움을 요청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밝혀진 사실은 단 하나 — 신경이 완전히 끊어진 건 아니었지만,
부분 손상만 인정되어 보상금은 기대보다 훨씬 적었다는 점이었습니다.
1. 턱 수술 후 입술 무감각, 왜 생기는 걸까?
턱 수술은 단순 미용 목적뿐 아니라 교정, 교합 개선, 통증 완화를 위해 시행됩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하치조 신경(mental nerve)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 신경은 턱뼈 안쪽을 따라 흐르며, 입술과 턱 끝 감각을 담당합니다.
절골선(뼈를 자르는 위치)이 조금만 아래로 내려가도 신경을 직접 자극하거나 손상할 수 있죠.

대부분의 감각 이상은 2~3개월 내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손상된 신경이 완전히 재생되지 않아
영구적인 감각 저하로 남기도 합니다.
2. 의료분쟁조정위의 ‘부분 손상’ 판단 근거
조정위는 단순히 증상만 보고 판단하지 않습니다.
영상검사, 수술기록, 환자 동의서, 설명의무 이행 여부 등을 종합해 결정합니다.
- 영상 근거: CT 상 신경관이 절단되지 않고 압박 소견만 있는 경우
- 설명의무: 수술 전 감각 이상 가능성을 서면으로 고지했는지 여부
- 회복 경과: 3개월 이상 경과 후 감각 일부 회복 확인
이 세 가지 요건이 충족되면, 위원회는 보통 ‘합병증 가능성’으로 판단해 부분 손상으로 분류합니다.
3. 완전 손상과 부분 손상, 결과는 얼마나 다를까?
구분 | 완전 손상 | 부분 손상 |
---|---|---|
감각 회복 | 없음 | 부분 회복 (30~60%) |
보상금액 | 약 800만~1500만 원 | 약 300만~600만 원 |
의료과실 인정 | 높음 | 중간 수준 |
조정 소요기간 | 약 6개월 | 약 3개월 |
4. 의료분쟁 절차, 이렇게 진행됩니다
조정 신청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K-medi)에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의료 전문가들이 감정 과정을 통해 조정을 진행합니다.
- 신청서 작성 및 접수 (무료)
- 진료기록 및 영상자료 제출
- 의료감정 진행 (약 60일 내)
- 조정회의 개최 및 결정
5. 회복까지의 시간과 현실적 대응
신경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까지 수개월이 걸립니다.
A씨 역시 물리치료,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6개월 만에 감각이 약 40% 돌아왔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턱 수술 후 입술 무감각은 모두 의료사고인가요?
A. 아닙니다. 대부분은 일시적 신경 자극에 의한 것으로, 3개월 이내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6개월 이상 지속되면 후유장해로 판단합니다.
Q2. 의료분쟁조정위원회 보상금은 평균 얼마인가요?
A. 손상 정도에 따라 200만~1500만 원 사이이며, 완전 손상은 평균 1000만 원 수준입니다.
Q3. 변호사 없이 조정 신청이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다만 감정서 준비 등 절차가 복잡할 경우, 전문가 자문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Q4. 동의서에 감각 이상 가능성이 명시돼 있으면 보상 불가인가요?
A.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설명의무가 불충분하면 여전히 과실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Q5. 감각이 돌아오지 않으면 평생 장애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사례에서는 ‘영구적 감각 손상’으로 인정되어 후유장해 보험금이 지급된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 꼭 기억해야 할 한 가지
의료사고는 결과만으로 판단되지 않습니다.
작은 부주의, 설명 부족, 사후 대응 부재가 결국 한 사람의 삶에 깊은 흔적을 남깁니다.
입술 감각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포기하지 마세요.
정확한 기록과 조정을 통해 당신의 권리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 본 글은 의료 사고 관련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법률적 조언이나 진단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료 전문인 및 법률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